정의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 양력으로 5월 6일 무렵이고 음력으로 4월에 들었으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45도에 이르렀을 때이다.
입하(立夏)는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들어 여름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절후이다.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는 뜻으로 맥량(麥凉), 맥추(麥秋)라고도 하며, ‘초여름’이란 뜻으로
맹하(孟夏), 초하(初夏), 괴하(槐夏), 유하(維夏)라고도 부른다.
내용
이때가 되면 봄은 완전히 퇴색하고 산과 들에는 신록이 일기 시작하며 개구리 우는 소리가 들린다.
또 마당에는 지렁이들이 꿈틀거리고, 밭에는 참외꽃이 피기 시작한다. 그리고 묘판에는 볍씨의 싹이 터
모가 한창 자라고, 밭의 보리이삭들이 패기 시작한다. 집안에서는 부인들이 누에치기에 한창이고,
논밭에는 해충도 많아지고 잡초가 자라서 풀뽑기에 부산해진다.
( 써래질 하는 모습)
관련속담
옛날 재래종 벼로 이모작을 하던 시절에는 입하 무렵에 한창 못자리를 하므로 바람이 불면
씨나락이 몰리게 되는데, 이때 못자리 물을 빼서 피해를 방지하라는 뜻으로 “입하 바람에 씨나락
몰린다.” 는 말이 있다. 겨울에 눈이 많이 오는 해는 목화가 풍년 든다는 뜻으로 “입하 일진이 털 있는
짐승날이면 그해 목화가 풍년 든다.” 는 말도 있다.
입하가 다가오면 모심기가 시작되므로 농가에서는 들로 써레를 싣고 나온다는 뜻으로 “입하물에 써레
싣고 나온다.” 라는 말도 있다. 재래종을 심던 시절에는 입하 무렵에 물을 잡으면, 근 한 달 동안을
가두어 두기 때문에 비료분의 손실이 많아 농사가 잘 안 된다는 뜻으로 “입하에 물 잡으면 보습에
개똥을 발라 갈아도 안 된다.” 라는 말도 있다.
2014년 5월 5일 오늘은 어린이날이자 입하(立夏)일이다.
여름의 초입을 뜻하는데, 입춘(立春)·입하(立夏)·입추(立秋)·입동(立冬)을 사립(四立)이라고 한다.
사립에 춘분(春分)·하지(夏至)·추분(秋分)·동지(冬至)를 합하면 팔절(八節)이 된다.
팔절에 부는 바람이 팔풍(八風)이다.
입춘(立春)에 부는 바람이 조풍(調風)이고, 춘분(春分)에 부는 바람이 명서풍(明庶風),
입하(立夏)에는 청명풍(淸明風)이 분다. 하지(夏至)에 경풍(景風)이 불고,
입추(立秋)에는 양풍(凉風)이, 추분(秋分)에는 창합풍이 불고,
입동(立冬)에는 부주풍(不周風), 동지(冬至)에는 광막풍(廣莫風)이 분다.
여름을 주명절(朱明節)이라고 한다.
청(靑)·황(黃)·적(赤)·백(白)·흑(黑)색이 오색(五色)인데 이 중에서 붉은색이 여름의 색이기에
붉을 주(朱)자를 쓰는 것이다. 선조들이 절기를 중시한 것은 농사의 시기를 중시했기 때문이었다.
입하는 24절기 일곱 번째. 음력으로는 4월절(四月節), 양력 5월 5~6일경으로,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든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45도 때. '여름에 든다.'는 뜻으로 초여름의 날씨를 보인다.
여름은 立夏(입하) 에서부터 시작하여 立秋(입추)전까지이다.
옛사람들은 입하 15일간을 5일씩 3후(候)로 세분하여
① 청개구리가 울고 ② 지렁이가 땅에서 나오며
③ 왕과(王瓜: 쥐참외)가 나온다고 하였다.
곡우 때 마련한 모판의 모도 잘 자라고 있어서 농사일은 더 바쁘다.
파릇한 신록(新綠)이 신비한 색상으로 온 누리를 뒤덮는다.
곡우전후에 채다한 세작을 茶(차)중에서도 최상품으로 치나 한국의 茶聖(다성), 초의(艸衣)선사는
'우리의 차(茶)는 곡우 전후보다는 입하(立夏) 전후가 가장 좋다'고 하였다.
또한 세시행사의 하나로 쑥버무리를 절식으로 마련하기도 한다.
우수에는 삼밭을 갈고, 경칩에는 농기구를 정비하며, 춘분에는 올벼를 심고
청명에는 올기장을 심으며, 곡우에는 호미질하러 나가고
입하에는 들깨를 심으며, 망종에는 모시와 삼을 거두고
하지에는 가을보리를 거두며, 입추에는 메밀을 심고
처서에는 올벼를 수확한다.
이는 정조실록 22년(1798) 11월 30일 기록이다.
입하무렵 가장 먼저 피는 꽃은 이팝나무이다.
마을에 한두 그루쯤 있는 이팝나무에서 흰꽃이 핀다.
꽃이 마치 흰 쌀밥 같이 온 나뭇가지를 뒤덮으며 피는데 꽃이 한꺼번에 잘 피면 그해 풍년이 들고
꽃이 신통치 않으면 흉년이 들 징조라고 한다. 그러니까 우리 조상들은 쌀밥나무라 부른 이팝나무를
통해 그해의 풍흉을 점쳤던 것이다.
이팝나무란 이름은 입하 무렵 꽃이 피기 때문에 ‘입하목(立夏木)’이라 부른 데서 유래했다고 하며,
조선시대 왕족인 이씨(李氏)들이나 귀족 양반들이 먹는 ‘이씨의 밥’이 ‘이(李)밥’으로 변해 이팝나무가
됐다는 얘기도 전한다.
이팝나무 꽃은 흐드러진 흰색의 꽃이 마치 쌀밥(이밥)을 고봉으로 담아 놓은 것 같은 모양이라
그런 유래가 생겼다.
예전 가난한 백성은 그저 밥이나 배부르게 먹는 것이 소원이었다.
논에서 종일 허리를 제대로 펼 틈도 없이 농사를 지을 땐. 뱃가죽과 등짝이 서로 들러붙는 듯한 허기에
아낙이 새참을 이고 오기만 이제나저제나 바라보다 눈에 들어오는 이팝나무꽃이 마치 흰 쌀밥으로
보였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이팝나무는 쌀밥나무라고도 불리운다.
입하 - 곽효환-
담장너머 다시 꽃이 피었다 지고
산너머 봄이 머물다 가면
손톱끝에 봉선화 꽃물
대롱대롱 매달려
아스라이 져 가는데
노을빛 고운 저녁무렵
바람을 타고
작은 그리움이 큰 그리움을 부른다.
작은 슬픔이 깊은 슬픔을 부른다.
그리고 혹은 그렇게
여름이 왔다....
(옮겨옴)
'오늘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부의 날입니다. (0) | 2015.05.21 |
---|---|
오늘은 스승의 날입니다. (0) | 2015.05.15 |
제 93회 어린이날을 축하합니다 (0) | 2015.05.05 |
생명주일입니다 (0) | 2015.05.03 |
성소주일입니다 (0) | 201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