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과 청명에 관해~
오늘은 청명 , 내일은 한식.
24절기의 하나로 태양의 황경(黃經)이 15°에 있을 때를 말하며,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의 절기입니다
양력 4월 5∼6일 무렵이고 음력으로는 3월입니다
농가에서는 이 날을 기하여 논농사의 준비작업을 합니다.
한식은 동지(冬至)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청명절(淸明節) 당일이나 다음날이 되는데
음력으로는 대개 2월이 되고 간혹 3월에 드는 수도 있다.
양력으로는 4월 5·6일경이며, 예로부터
설날·단오·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일컫는다.
한식이라는 명칭은, 이 날에는 불을 피우지 않고
찬 음식을 먹는다는 옛 습관에서 나온 것인데,
한식의 기원은 중국 진(晉)나라의 충신 개자추(介子推)의
혼령을 위로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논둑의 가래질을 시작한다.
음력 삼월에는 청명과 곡우가 있다. 청명은 보통 한식과 겹치거나(6년에 한번씩) 하루 전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 매일반"이라 했다.
청명이 되면 비로소 봄밭갈이를 한다.
천수답이나 물이 부족한 논에서는 봄철 논물 가두기를 한다. 논물을 가두어 두었다가
물이 부족한 모내기때 요긴하게 쓰자는 것인데, 가두어 둔 물은 대부분 봄가뭄에 마르기
마련이다. 논물 가두기는 이론적으로 그럴듯했으나 농민들의 호응은 얻지 못했다.
예부터 "한식날 논물은 비상보다 더 독하다."고 했다. 농가에서는 논물을 가두어 두면
지력이 소진되고, 논갈이에 지장이 있어 이를 기피해 왔다. 그러나 관(官)에서는 이를
모른 채 일방적으로 "봄철 논물 가두기 강력 추진"하는 바람에 논물 가두기는 농민을
무시한 전시행정의 표본이 되었다. 현재는 저수지의 확충, 농업 용수의 개발, 양수기의
보급 등으로 논물 가두기는 사라졌다.
청명 때는 삐삐, 또는 삘기라 부르는 띠(牙)의 어린 순이 돋는데 군것질거리가 없던
농가의 아이들이 다투어 뽑아 먹기도 했다.
청명·한식때가 되면 특히 바람이 심한데, 이때 불이나기 쉬우므로 한식날은 불을
사용하지 않고 찬밥을 그냥 먹기도 했다.
청명과 한식에 대하여 알아보았읍니다.
'오늘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님 수난 성 금요일입니다 (0) | 2012.04.06 |
---|---|
주님 만찬 성 목요일 (0) | 2012.04.05 |
주님 수난 성지 주일입니다 (0) | 2012.03.31 |
성 요셉 대축일입니다 (0) | 2012.03.19 |
경칩입니다 (0) | 2012.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