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종은 보리를 먹게 되고 볏모를 심는 시기다.
망종은 말 그대로 까라기 종자라는 뜻이니 까끄라기가 있는 보리를 수확하게 됨을 의미한다.
망종이 일찍 들면 보리농사가 잘 되고 늦게 들면 나쁘다고 했다.
망종까지는 보리를 베어야 논에 벼도 심고, 밭 갈아 콩도 심게 된다.
망종을 넘기면 모내기가 늦어지고,
바람에 보리가 넘어져 수확하기가 어려워진다.
특히 보리는 "씨 뿌릴 때는 백일, 거둘 때는 삼일"이라 할 정도로 시간이 촉박했다.
보리를 수확한 후에는 보리깍대기를 태워야 모내기 하기에 편리하다.
그리고 모를 심어도 빨리 사름(뿌리 활착)하게 된다.
그래서 보리수확이 끝난 논마다 보리깍대기 태우는 연기로 장관을 이루게 된다.
농가에서는 이맘 때 쯤이면 보리수확과 모내기가 연이어져 부척 바쁘게 된다.
이때의 바쁨을 일러 "발등에 오줌 싼다"고 말한다.
망종때는 농사일이 끊이지 않고 연이어져 일을 멈추는 것을 잊는다고 '망종(忘終)'이라고도 했다.
말 그대로 농번기의 최고 절정인 것이다.
보리수확과 타작이 끝나는 망종때부터 모내기가 대대적으로 시작된다.
특히 이모작을 하는 남부지방에서는 보리나 밀을 베랴,
논을 갈고 써래질하고 모심으랴, 눈코 뜰새없이 바쁘다.
이렇게 바쁘다 보니 자연 "불 때던 부지깽이도 거든다,
별보고 나가 별보고 들어온다."는 말까지 생기게 되었다.
이때의 바쁨을 이문구는 동시 '오뉴월'에서 이렇게 감칠맛나게 표현했다.
엄마는 아침부터 밭에서 살고 아빠는 저녁까지 논에서 살고 아기는 저물도록 나가서 놀고 오뉴월 긴긴 해에 집이 비어서 더부살이 제비가 집을 봐주네 (옮김)
그리고, 오늘은 환경의 날입니다. 환경의 날을 맞이하여, 자연보호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주님, 경제적 사회적 이유로 당장의 이익만 생각하고 주님께서 창조하신 대자연을 무참히 파괴하고 있는 저희를 깨우쳐 주시어, 저희의 그릇된 판단을 뉘우치고 주님께서 창조하신 자연의 본래 모습을 지켜 후손들에게 온전히 물려주게 하소서.
'오늘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수 성심 대축일(사제 성화의 날)입니다 (0) | 2013.06.07 |
---|---|
58회 현충일입니다 (0) | 2013.06.06 |
삼위일체 대축일입니다 (0) | 2013.05.26 |
성령 강림 대축일입니다 (0) | 2013.05.19 |
곡우(穀雨)입니다 (0) | 2013.04.20 |